생활 이야기

도산서원과 1000원권 지폐,그리고 퇴계 이야기

행복을 만드는 사람들 2012. 1. 23. 21:54

★도산서원과 1000원권 지폐,그리고 퇴계 이야기★

 

도산서원과 1000원권 지폐,그리고 퇴계 이야기

 

매화를 너무나 사랑한 퇴계(退溪)선생은

그냥 매화라 하지 않고

매형(梅兄), 매군(梅君), 매선(梅仙)이라는

존칭으로 대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매화와 함께 퇴계를 이야기 할때는 늘 떠오르는

한명의 여인이 있는데 단양의 관기 두향(杜香)입니다.

이 두사람의 이야기는 아마 인터넷 어느공간에서

한 번쯤은 읽어보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1000권지폐와 도산서원의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은 경북 안동 도산면

낙동강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도산서원을 일반 대중들께 가장 널리 알려 준 것이

바로 1000원권

지페인데 구 1000원권 지폐 뒷면의

그림이 바로 도산서원 풍경입니다.

(위 그림 참조) 도산서원을 방문하는

이들은 대개가 지폐를 한장 들고

실물과 그림을 비교하는 재미를 가졌었지요.

도산서원은 퇴계가 말년에 내려와 후학들을 가르치는

 조그만 서당(도산서당)이었는데 이것을

퇴계 사후에 선조의 명으로 증축하고 고쳐지어

서원으로 만든 것입니다.

 

위 지폐를 보시면 상단의 THE BANK 에서

BA 글자 밑에 나무가 한그루 보이는데

이 나무가 이 도산서원을 상징하고 퇴계선생을 기리는

수령이 400년 쯤 된 회화나무(아래 본문 사진 참조) 였습니다.

 

이것이 지난 2001년에 말라 죽어 버렸지요.

그 반면에 아래 WON 이란 글자 위에

우뚝하게 솟아 있는 나무는

박정희 대통령이 청와대 경내에 있는

나무를 옮겨 심었다는 금송(아래 본문 사진 참조)입니다.

근데 이 금송이 바로 일본에선 일왕을 상징하는

왕궁의 조경수라는 것입니다.

이 문제 때문에 그 뒤 뽑아 버리니마니 말들이 많았는데

이번에 보니 키가 더욱 커져서 싱싱하게 아직도

그자리에 자라고 있더이다.

이 1000원권은 이후 2006년에 새롭게

도안이 되고 크기도 줄어든 새 지폐로 변경 됩니다.

회화나무를 말라 죽게 만들었다고

안동시청 공무원들이 굉장히 시달렸는데

지폐가 바뀌고 나서는 그 그림이 보이지

않게 되어 원성이 많이 줄어 들었다는 후문입니다.

 

 

신권의 앞면에는 조선 최고의 교욱 기관이었던

명륜당과 퇴계가 그리 아끼던 매화가 20포기 정도

그려져 있습니다.

죽기 전 마지막 남긴 말도 '매형(梅兄)에게

물 잘 주라.'고 하였지요.

 

 

 이런 저런 이유로 1000원권 지폐는 크기도 줄어 들었고

그 도안이 바꿨는데 지금 사용 중인 지폐의 뒷면에는

이제 도산서원의 실물 그림은 없어지고

겸재 정선의 말년 작품인

계상정거도(溪上靜居圖)가 실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蹟)이란

서화첩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황과 송시열의 호인 퇴계와 우암을 선생으로

기리는 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계상정거도는 퇴계가 죽고 177년이 지난 다음

겸재 정선이 71살의 노년에 그린 그림입니다.

 

아래 그림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물가에 있는

정자 같은 건물속에 한 선비의

모습이 보이는데(바로 아래 그림)

이 선비의 모습이 바로 퇴계 이황입니다.

겸재 정선은 그림책에서 이 장면을 설명 하기로

퇴계가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집필하는 장면이라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자서절요란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 가운데

문인지구(門人知舊)와 주고받은 서찰(書札)을 뽑아 엮은

서간선집(書簡選集)으로 기대승(奇大升)이 간행한 책입니다.

퇴계의 대표작인 주자서절요를 짓고 있는

이때 퇴계의 나이는 58세.

따라서 아래 그림에 보여지는 선비는 퇴계이며

이때 나이는 58세..라는 추론이 가능하여 집니다.

 

근데 이 지폐가 발행되고 나서 위의

그림을 가지고 논란거리가 생겼습니다.
위의 그림이 계상정거도인 것이 확실하고 이 그림의 설명으로 퇴계가 주자서절요를 짓고 있는 장면이라면 이때는 도산서원은 존재하지도 않았던 때가 됩니다.

그리고 위 그림의 내용대로 퇴계가 주자서절요를 집필할

당시 퇴계가 있던 곳은 계상서당(溪上書堂)이었습니다.

 

계상서당은 도산서당이 세워지기 전 퇴계가 세운 서당입니다.

도산서당과는 조그만 야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전혀 다른 위치의 장소입니다.

물론 이땐 도산서당은 없었구요.

 

근데 문제는 이 계상서당이 초가였다는 것입니다.

그림에서 퇴계가 앉아 있는 곳은 초가가 아니구요.

그림의 전체적인 풍경도 계상서당보다는

지금의 도산서원과 너무나 흡사합니다.

따라서 많은 이들이 이 그림을 도산서원으로

지목을 하게 된 것입니다.

 

즉, 퇴계가 주자서절요를 집필한 곳이 계상서당이

분명한데 그림은 도산서원이 되어 버린 것입니다.

한국은행에서도 처음에는 도산서원이라 했다가

뒤에 시대상 맞지 않은 오류를 지적하자

계상서당으로 말을 바꾸었구요.

 

따라서 대강 추리를 해 볼때는 이 그림을 겸재가

그릴때의 시기가 퇴계 사후 177년이 경과한 한참 뒤의 일이니

퇴계가 가장 말년에 애착을 가지고 지냈던 도산서당과

그것을 증축한 도산서원을 떠 올리며

그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결론을 내어 봅니다.

 

주차장에서 도산서원까지는 약 10여분 정도 걸어 들어가야 되는데 주변의 경관이 좋아 전혀 지루하지 않습니다.
 

걸어 들어가는 길은 꼭 시멘트 포장길처럼 보이지만 흙길이라 발 밑이 간지러운게 정말 기분 좋습니다.

목적지가 어느 사찰이라면 분명

시멘트로 포장이 되었을 것인데

그나마 서원길이라 이렇게 흙길로

남겨져 있는 것이 너무 행운입니다.
 

서원 앞에는 섬처럼 보이는 정자가 하나 보이는데 이건

안동댐 공사로 수몰되어지는

건물을 9m나 돋우어 올린 것입니다.

옛날 정조때 과거를 보던 장소로서 시사단(試士壇)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산 도산서원에 도착. 집들이 모두 정갈하게 보여지고

6월의 녹음이 더하여져 싱그럽습니다.

퇴계가 두향을 잊지 못하여 손수 물을 길어 보냈다는

그 우물. 열정(冽井).

 

내려다 보니 푸른 하늘이 보이네요. 두레박만 있었다면 길러 두향이 퇴계의 안녕을 비는 정한수로 사용 했다는

그 물 맛을 같이 한번 느껴 보고 싶더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금송입니다.

이 서원과 퇴계를 상징하던 회화나무는 말라 죽고

일본 왕궁을 상징하는

이 나무는 펄펄 살아 있다는 것이 조금 거시기 합니다.

키도 너무 커서 전체 분위기를 해치는 것 같구요.

퇴계후손의 종택에서

이 나무에 대하여 말들이 많은가 봅니다.

 또 하나의 우물인 몽천(蒙泉)
'산골에서솟아나는 바가지샘을 [역경]몽괘(夢掛)의

의미를 취하여 몽천이라 하고,

몽매한 제자를 바른 길로 이끌어가는 스승의 도리와.

한방울 샘물이 솟아나와

수많은 어려움을 거쳐 바다에 이르듯이 제자들은 어리석고 몽매한 심성을 밝게 깨우쳐서

한방울의 샘물이 모여 바다가 되듯이 끊임없이 노력하여 자신의 뜻을 이룩하라는'

엄청난 교훈을 주고 있는 우물입니다.

도산서원 이전에 원래 있던 서당 건물. 퇴계 사후 선조가 나머지 뒷편 건물을 증축하여 서원으로 만든 것입니다.
 

 

 

 매실이 예쁘게 많이 달려 있습니다.

 

 광명실(光明室)과 그 앞에 말라 죽어버린 회화나무.

 

광명실은 책을 보관하는 곳인데 일전에 한번 도둑을 만나 지금은 중요한 도서는 인근의 국학진흥원으로 옮겨 놓고

일반 서적만 보관하고 있습니다. 문은 옛날 '쇳대'로

잠궈져 있고 그것을 봉(封) 해 두었네요.
 

이곳은 서원에서 찍어내던 목판본을 보관하던 장판각(藏板閣). 지금은 다른 곳으로 모두 옮기고 텅 비어 있습니다.
 

사당인 상덕사로 들어 가는 삼문(三門)

 

 도산서원의 핵심인 전교당(典敎堂) 일종의 강당(講堂)건물로서 보물 210호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마루에는 아무나 올라 갈 수 있습니다.

시원하네요 ~

전교당의 편액인데 한석봉의 글씨입니다.

이를 선조가 도산서원에 내려 준 것이구요.

 

 마루에 올라가서 내려다 본 풍경

 

 

말라죽은 회화나무에 덩쿨이 타고 올라 있어

더욱 안타깝습니다.

 

도산서원 앞 마당에 있는 400년된 왕버드나무.

세월이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