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취미생활 여행

"백록담" 물 가득 찬 것 언제 본적 있나요?

행복을 만드는 사람들 2011. 7. 9. 11:48

 

 "백록담" 물 가득 찬 것 언제 본적 있나요?

"물이 가득 찬 백록담의 비경을 보셨나요.?" 장마전선이 한반도를 다시 뒤덮은 8일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에는 전화가 빗발쳤다.

백록담에 물이 가득 찼는지를 물어보는 전화다. 한라산 등산로 입구 가운데 하나인 관음사 야영장은

백록담 만수위의 '장관'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든 등산객과 사진작가들로 북적이고 있었다.

 

백록담에 물이 가득 찬 풍경은 한라산 비경 중의 비경이다. 1년에 물이 가득 찬 신비스러운 풍경을

드러내는 건 고작 5~6일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직접 눈으로 보는 건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잦은 비와 안개 등 정상의 변화무쌍한 기상 때문에 화구호(화산의 분출구가 막혀 물이 괸 호수)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화산지질의 백록담은 물을 오래 가두지 못해 평소 물이 가득 찬 만수위의 장관을 구경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

장맛비가 줄기차게 퍼부은 이날도 이른 새벽부터 어김없이 산행객들이 줄을 이었다. 부산에서 왔다는

아마추어 사진가 김모(56)씨는 "백두산 천지에 물이 가득 찬 것을 보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게 백록담의

만수위"라며 "그동안 여름 장마철에만 10여 차례 한라산에 올랐지만 안개 등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물 가득한 백록담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오늘 다시 한라산을 찾았다."고 말했다.

물이 가득 찰 경우 여름 장마철 백록담의 깊이는 4m 정도. 분화구 둘레가 1720m, 깊이는 108m다.

동서 길이는 600m, 남북 길이는 400m로 면적은 21만 230㎡에 이른다. 담수면적은 평균 1만 1460㎡로, 최대 만수시 2만 912㎡에 달해 구름이 끼면 낀 대로, 맑으면 맑은 대로 그야말로 장관이다.

사실, 백록담의 물 깊이는 옛 문헌에 잘 나타나 있다. 1601년 안무어사로 제주에 온 김상헌은 '남사록'에서 '얕은 곳은 종아리가 빠지고 깊은 곳은 무릎까지 빠진다.'고 적었다. 8년뒤 김치 판관이 부임해 '깊이가 한길(2m)남짓'이라는 기록을 남겼고, 1841년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원조는 '탐라록'에서 '백록담의 깊이를 헤아리면 한 장(장은 10척의 길이로 약 3m)'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 1873년 제주에 귀양왔던 면암 최익현은 '유한라산기'에서 '얕은 곳은 무릎까지, 깊은 곳은 허리까지 찼다.'고 적었다.

요즘 백록담은 장마와 태풍 메아리가 뿌린 600㎜의 폭우로 3m 정도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 700㎜ 이상의 비가 한라산 정상부에 2~3일 계속되면 백록담은 만수위에 이를 것으로 관리사무소 측은 내다보고 있다.

2005년 제주대와 부산대 난대림연구소 공동연구팀은 '한라산 백록담 담수 보전 및 암벽붕괴 방지 방안'이란 연구를 통해 백록담 담수 면적과 수위 높이가 줄어들고, 바닥을 드러내는 원인으로 투수 속도가 빠른 화산암반 퇴적층(토사층)을 첫 손에 꼽았다.

그러나 더 심각한 건 몰려드는 등산객들이다.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 강성보 소장은 "1960년대 이후 등반객이 크게 늘면서 답압에 의한 사면의 붕괴가 가속화되면서 백록담 물그릇에 토사가 많이 쌓이는 탓에 담수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금처럼 연간 100만명 정도의 등산객은 별 무리가 없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사전 예약제와 등산객 총량제 등을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