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님에게 외아들이 있었는데
며느리를 고르게 되었다.
앞으로 이 나라의 왕후가 될 사람이므로
가장 슬기로운 처녀를 찾는 것이 문제였다.
임금님이 며느리를 뽑는다는 광고를 듣고
아름다운 처녀들 수백명이 궁전으로 모여 들었다.
임금님은 이 처녀들에게 시험문제를 냈다.
"너희들에게 쌀 한되씩을 주겠다.
이것으로 한달 동안을 먹다가 다시 모여라."
처녀들은 큰 걱정이었다.
쌀 한 되라면 사흘이면 다 먹어 버릴만한 적은 쌀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처녀는 멀겋게 쌀물을 끓여서 마시기도 하고
어떤 아가씨는 처음부터 굶기도 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처녀들은 아예 포기해버렸다.
그런데 그 처녀들 중에 달래라는 어여쁜 소녀가 있었다.
달래는 임금님의 쌀을 앞에 놓고 밤새도록 연구를 했다.
"훌륭한 임금님께서 이런 엉터리 시험문제를 내실 리가 없다.
임금님의 생각이 무엇일까?"
아침이 되어서야 달래는 무엇을 깨달았는지
무릎을 탁 치고 방실 웃었다.
달래는 곧 부엌에 가서 그 쌀 한되를 가지고 몽땅 떡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예쁜 옷을 차려입고 시장에 나갔다.
임금의 며느리감쯤 되는 이 아름다운 처녀가 떡을 파니까
참 팔리기도 잘 했다.
동네 총각들이 서로 앞을 다투어 떡을 사먹게 되었다.
달래는 떡 판 돈을 가지고 다시 쌀을 팔아 떡을 만들었다.
이제는 더 많은 떡을 만들 수가 있었다.
달래는 떡장사에서 아주 재미를 부쳤다.
그리고는 남들처럼 굶는 것이 아니라
장사해서 번돈으로 먹고 싶은 것을 실컷 사 먹었다.
그러다 보니까 몸도 건강해지고 떡판을 이고 다니며
햇볕에서 일을 열심히 했기 때문에
얼굴도 알맞게 타서 더 아름다워졌다.
한달이 지나고 마감날이 되었다.
임금은 높은 보좌에 앉아서 궁궐로 들어오는 처녀들을 보고
얼굴을 찌뿌렸다.
인력거에 탔거나 아버지 등에 업혀 오는 처녀들은 사람이 아니라,
뼈만 앙상하게 남은 송장들이었으니까.
드디어 달래가 들어왔다.
달래는 힘차게 두 팔을 흔들며 들어왔다.
그 뒤에는 쌀가마니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따라 들어왔다.
"임금님께서 주신 쌀 한 되로 장사를 하여
그 동안 제가 잘 먹고 남은 것이 한 달구지나 되었사오니 받으시옵소서."
임금님은 달래의 이야기를 듣고 정말 기뻐하셨다.
그리고 한 말씀을 하셨다.
"달래는 있는 것을 앉아서 먹기만 한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해서 그것을 불릴 줄 아는 참으로 지혜로운 규수구나.
이 나라의 왕후는 일하기를 즐거워 하고
지혜가 있는 달래가 되어 마땅하다."
이 이야기는 도서출판 창의
{이야기 해 주세요}란 책에서 소개된 내용으로,
달래라는 아가씨의 지혜가 돋보이는 예화입니다.
특히, 달래라는 아가씨는 임금님께서 하신 말귀를
제대로 알아듣고 그 본의를 파악하여 실천을 했습니다.
쌀 한 되를 가지고 한 달을 지내라는 말도 되지도 않은 말을
곧이 곧대로 알아듣는 처녀들은
모두 중도 탈락하거나 또는 뼈만 앙상히 남아
거의 송장이나 다름없이 되었지만,
유독 달래만은 임금님께서 하신 말씀의 본의를 파악하여
그 쌀 한 되를 가지고 불리고 불려서
먹을 것 다 먹고도 남은 쌀 가마니를 달구지에 가득 싣고 입궐하여
결국 임금님을 기쁘게 해서 왕비가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이야기는 우리가 의사 소통을 하는데
말을 하면 곧이 곧대로 알아듣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말고,
말하는 그 본의가 무엇인가를 고민을 통해서 잘 헤아려 파악할 줄 아는
말귀를 알아듣는 사람이 되라는 교훈을 일러주고 있습니다.
즉, 개떡같이 말하더라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사람이 되라는
말입니다.
또한, 이 이야기는 우리들로 하여금 달래와 같이 장사를 해서
쌀 한 되를 가지고도 한달 동안을 불리고 불려서
실컷 먹고도 남아 달구지에 가득 싣고 갈 수 있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라고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원불교의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께서는
"지혜있는 사람은 복을 지을 줄도 알고, 지킬 줄도 알며,
쓸 줄도 알아서 아무리 큰 복이라도
그 복을 영원히 지니나니라.(인도품 19장)"고 말씀하셨습니다.
P style="TEXT-ALIGN: center">
| 임금님에게 외아들이 있었는데
며느리를 고르게 되었다.
앞으로 이 나라의 왕후가 될 사람이므로
가장 슬기로운 처녀를 찾는 것이 문제였다.
임금님이 며느리를 뽑는다는 광고를 듣고
아름다운 처녀들 수백명이 궁전으로 모여 들었다.
임금님은 이 처녀들에게 시험문제를 냈다.
"너희들에게 쌀 한되씩을 주겠다.
이것으로 한달 동안을 먹다가 다시 모여라."
처녀들은 큰 걱정이었다.
쌀 한 되라면 사흘이면 다 먹어 버릴만한 적은 쌀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처녀는 멀겋게 쌀물을 끓여서 마시기도 하고
어떤 아가씨는 처음부터 굶기도 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처녀들은 아예 포기해버렸다.
그런데 그 처녀들 중에 달래라는 어여쁜 소녀가 있었다.
달래는 임금님의 쌀을 앞에 놓고 밤새도록 연구를 했다.
"훌륭한 임금님께서 이런 엉터리 시험문제를 내실 리가 없다.
임금님의 생각이 무엇일까?"
아침이 되어서야 달래는 무엇을 깨달았는지
무릎을 탁 치고 방실 웃었다.
달래는 곧 부엌에 가서 그 쌀 한되를 가지고 몽땅 떡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예쁜 옷을 차려입고 시장에 나갔다.
임금의 며느리감쯤 되는 이 아름다운 처녀가 떡을 파니까
참 팔리기도 잘 했다.
동네 총각들이 서로 앞을 다투어 떡을 사먹게 되었다.
달래는 떡 판 돈을 가지고 다시 쌀을 팔아 떡을 만들었다.
이제는 더 많은 떡을 만들 수가 있었다.
달래는 떡장사에서 아주 재미를 부쳤다.
그리고는 남들처럼 굶는 것이 아니라
장사해서 번돈으로 먹고 싶은 것을 실컷 사 먹었다.
그러다 보니까 몸도 건강해지고 떡판을 이고 다니며
햇볕에서 일을 열심히 했기 때문에
얼굴도 알맞게 타서 더 아름다워졌다.
한달이 지나고 마감날이 되었다.
임금은 높은 보좌에 앉아서 궁궐로 들어오는 처녀들을 보고
얼굴을 찌뿌렸다.
인력거에 탔거나 아버지 등에 업혀 오는 처녀들은 사람이 아니라,
뼈만 앙상하게 남은 송장들이었으니까.
드디어 달래가 들어왔다.
달래는 힘차게 두 팔을 흔들며 들어왔다.
그 뒤에는 쌀가마니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따라 들어왔다.
"임금님께서 주신 쌀 한 되로 장사를 하여
그 동안 제가 잘 먹고 남은 것이 한 달구지나 되었사오니 받으시옵소서."
임금님은 달래의 이야기를 듣고 정말 기뻐하셨다.
그리고 한 말씀을 하셨다.
"달래는 있는 것을 앉아서 먹기만 한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해서 그것을 불릴 줄 아는 참으로 지혜로운 규수구나.
이 나라의 왕후는 일하기를 즐거워 하고
지혜가 있는 달래가 되어 마땅하다."
이 이야기는 도서출판 창의
{이야기 해 주세요}란 책에서 소개된 내용으로,
달래라는 아가씨의 지혜가 돋보이는 예화입니다.
특히, 달래라는 아가씨는 임금님께서 하신 말귀를
제대로 알아듣고 그 본의를 파악하여 실천을 했습니다.
쌀 한 되를 가지고 한 달을 지내라는 말도 되지도 않은 말을
곧이 곧대로 알아듣는 처녀들은
모두 중도 탈락하거나 또는 뼈만 앙상히 남아
거의 송장이나 다름없이 되었지만,
유독 달래만은 임금님께서 하신 말씀의 본의를 파악하여
그 쌀 한 되를 가지고 불리고 불려서
먹을 것 다 먹고도 남은 쌀 가마니를 달구지에 가득 싣고 입궐하여
결국 임금님을 기쁘게 해서 왕비가 되었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이야기는 우리가 의사 소통을 하는데
말을 하면 곧이 곧대로 알아듣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말고,
말하는 그 본의가 무엇인가를 고민을 통해서 잘 헤아려 파악할 줄 아는
말귀를 알아듣는 사람이 되라는 교훈을 일러주고 있습니다.
즉, 개떡같이 말하더라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사람이 되라는
말입니다.
또한, 이 이야기는 우리들로 하여금 달래와 같이 장사를 해서
쌀 한 되를 가지고도 한달 동안을 불리고 불려서
실컷 먹고도 남아 달구지에 가득 싣고 갈 수 있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라고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원불교의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께서는
"지혜있는 사람은 복을 지을 줄도 알고, 지킬 줄도 알며,
쓸 줄도 알아서 아무리 큰 복이라도
그 복을 영원히 지니나니라.(인도품 19장)"고 말씀하셨습니다.
★임금님의 며느리 고루기★(2012.2.19.일)
우리 소중한 님들!
똑 같은 말을 듣더라도 그 말의 본의가 무엇인가를
깊이 헤아리고 실천하는 말귀를 알아듣는 사람이 되고
똑 같은 복이 주어지더라도 그 복을 다 까먹지 않고 계속 키우고 키워서
더 큰 복을 만들고 장만하며 지켜가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님들이 되길 오늘도 간절히 염원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 소중한 님들!
똑 같은 말을 듣더라도 그 말의 본의가 무엇인가를
깊이 헤아리고 실천하는 말귀를 알아듣는 사람이 되고
똑 같은 복이 주어지더라도 그 복을 다 까먹지 않고 계속 키우고 키워서
더 큰 복을 만들고 장만하며 지켜가는
슬기롭고 지혜로운 님들이 되길 오늘도 간절히 염원해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