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님 안녕하세요!!
제 93회 3·1절
오늘은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난지 꼭 93년이 되는 해입니다.
3·1절(三一節)은 3·1 운동을 기념하여 제정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자 공휴일입니다.
1946년 3월 1일 제27회 기념식을 시초로 국가 경축일로
지정되었습니다.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관한법률>을 공포함으로써 국경일로
지정되었고 오늘까지 국경이로 하고 있습니다.
이날에는 정부 주최로 기념행사를 통해 순국선열에 대한 추모와
애도의 의미로 묵념을 올리며, 민족정신을 되새깁니다.
3·1 운동(三一運動)은 민족자결주의와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일제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1919년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입니다.
간디의 비폭력주의.복종 운동과 중화민국의 5.4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1947년 3·1절에는 제주에서 제주 4·3 사건의 원인이 되는
경찰의 발포사건(제주 3·1절 발포사건)이 일어났습니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 공원에서 33인의 대표들이 모여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만세 삼창을 불렀습니다.
"오등은 자에 아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 차로서 세계 만방에 고하여
인류평등의 대의를 극명하며....."
아마 최남선씨가 낭독한 것으로 생각 됩니다.
지금은 이미 고인이 되셨습니다.
그리고는 3.1절 노래도 불렀습니다.
"기미년 삼월 일일 정오
터지자 밀물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이 하나로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물 다시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하 이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 날을 길이 빛내자"
이렇게 시작되어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공약3장도
낭독하고 끝이 났지만 그러나 독립은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 이후로 일제는 우리를 더 짓밟고 더 혹독하게 하였으며
민족 말살 운동까지 펼쳤습니다.
끝을 맺고 1945년 8월 15일 드디어
일제 식민지하에서 해방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 무서운
제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고
전쟁은 연합군의 승리로
그때부터 대한민국이란 국호가 정식으로 시작된것입니다.
도리켜보면 이 날이야 말로 정말 뜻깊고 감격스러운
날이기도 합니다.
우리 국민의 애국심과 단결심은
우리 국민의 독립정신을 세계만방에 알렸으며
온 세계인들이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을 국경일이며 기념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님!!
오늘 이 거룩한 3.1절 기념일을 맞아 집집마다
태극기를 게양하는것은 물론이고 과거 독립운동 하시다가
일제의 탄압에 목숨까지 잃은 선열들을 한번 생각해
보는것도 바람직한 일일것 같습니다.
사랑하는 님!!
오늘 이 뜻깊은 날에 단순이 하루 쉰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좀더 국가와 민족을 위해 할수있는 무슨 뜻깊은
일은 없나 한번 생각해 보는것도 좋은 일일것 같습니다.
남을 위해 일하는것도 하나의 좋은 행복이며 영원한
추억이 될수도 있습니다.
님들의 마음속에 애국심을 심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님!!~
오늘도 좋은날 되시고 오늘 이 3.1절 기념일에
님들과 님들의 가정에 사랑과 평화가 늘 깃들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