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마지막 승전 전투영웅 故 김한준 대위 육군장
대위 첫 육군葬… 계급 아닌 戰功 따라
영웅 예우하는 나라로
'6·25 전쟁영웅' 故 김한준 예비역 대위 장례식
지금까지 육군장 13명 중 10명이 육군참모총장 출신…
계급 낮고 戰死 아니라고 그동안 제대로 예우 못받아
단상은 하얀 국화 수천 송이로 가득했다. 가운데 놓인 노병(老兵)의 영정사진을 향해 육군 장성 10여명과 장병 100여명이 거수경례를 했다. 하얀 정복을 입은 김요환 육군참모차장이 목례를 하고 조사(弔辭)를 낭독했다. "김한준 선배님… 오로지 진충보국(盡忠報國)의 일념으로 국가와 군을 위해 헌신과 봉사의 삶을 사셨던 선배님의 영전에 육군 전 장병과 더불어 삼가 머리 숙여 명복을 빌며, 최고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칩니다."
6·25전쟁에서 마지막 승전(勝戰)을 거둬 무공훈장 중 최고 등급인 태극무공훈장을 받은 고(故) 김한준(83) 예비역 대위의 장례가 1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육군장(葬)으로 엄수됐다.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위관급 예비역 장교에게 육군장이 거행되는 것은 처음이다. 고 김 대위의 장남 김정혁(49)씨는 "아버님 세상 떠나시는 길에 명예를 지켜주셔서 고맙습니다"라며 고개를 숙였다.
고 김 대위는 18세 때인 1947년 국방경비대에 입대했다. 6·25전쟁 발발 직후 전쟁터에서 소위로 임관해 전투를 치렀다. 특히 7사단 8연대 1중대장으로 1953년 7월 20~22일 강원 화천(당시 철원) 북방 425고지 전투에서 60㎜ 박격포로 중공군 1개 대대를 섬멸하는 전과(戰果)를 거뒀다. 이 전투는 6·25전쟁사(史)에서 마지막으로 승리한 전투로 기록됐다. 그는 '지도를 바꾼 사나이'로 불렸다. 만약 425고지를 뺏겼다면 화천댐 일대가 북한 땅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충무무공훈장과 화랑무공훈장을 받았고, 정전 후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했다.
- 6·25전쟁의 마지막 승전(勝戰)으로 기록된 강원도 화천의 425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끈 공로로 태극무공훈장을 받은 고(故) 김한준(83) 예비역 대위의 영결식이 1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육군장(葬)으로 거행됐다. /채승우 기자 rainman@chosun.com
고 김 대위의 장례가 육군장으로 치러진 데에는 최갑석(83) 예비역 소장의 노력이 있었다. 최 소장은 "6·25 때 함께 전장을 누비던 전우들이 사회에서 제대로 대우 못 받고 세상을 떠나는 게 안타까웠다"고 했다. 그는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은 1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참전용사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렀다"며 "우리나라는 그 정도는 안 되더라도 최소한의 예우는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
최 소장은 육군장(葬) 규정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육군장은 역대 참모총장을 역임한 장성, 장교로서 육군 발전에 특별한 공적을 남기고 전사·순직한 자 또는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전사한 자 등으로 한정돼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작년 김상기 육군참모총장을 직접 찾아가 "전사나 순직하지 못했다고 육군장에서 제외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육군은 회의를 거쳐 작년 10월 육군장 대상 중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전사한 자' 규정을 '태극무공훈장 수훈자'로 바꿨고, 이에 따라 고 김 대위의 장례는 위관급 장교로는 처음으로 육군장으로 치러졌다.
이번 육군장의 장의위원장을 맡은 김상기 총장은 지난 30일 전북대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장녀 김정화(57)씨는 "아버지 같은 분들께서 살아계실 때 제대로 대접받는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戰死하지 않은 태극무공훈장 수훈자로는 처음
육군은 지난달 29일 노환으로 별세한 김 예비역 대위의 장례를 1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육군장으로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육군은 작년 10월 육군장 대상 중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전사(戰死)한 자'를 '태극무공훈장 수훈자'로 개정했다. 개정 후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육군장을 치르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중 육군 출신은 총 64명으로, 이 중 15명이 생존해 있다.
고 김 예비역 대위는 1947년 자원입대했다. 6·25전쟁 당시 7사단 8연대 소속으로 평양입성작전에 참가했고, 1950년 11월 15일 육군 소위로 현지 임관했다. 7사단 8연대 1중대장으로 1953년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강원도 화천(당시 철원) 북방 425고지 전투에 참가했으며, 60㎜ 박격포를 이용해 1개 중대 병력으로 중공군 1개 대대를 섬멸하는 대전과를 거뒀다. 이 전투는 6·25전쟁사(史)에서 마지막으로 승리한 전투로 기록돼 있다. 정전 후 1953년 12월 9일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김 예비역 대위를 경무대로 초청해 직접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양옥자(81)씨와 아들 정혁씨 등 2남4녀가 있다.
[사설] 위관급 전쟁 영웅에게 주어진 육군葬의 영예
대한민국은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군인들의 예우와 장례에 인색했다. 조창호 예비역 중위는 6·25 때 포로로 잡혀가 북한에서 갖은 고난을 겪다 1994년 탈출했다. 한국에 돌아온 그가 병상에 누운 채 국방장관에게 귀환 신고를 했을 때 많은 국민이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2006년 그의 장례식은 국군장·합참장·육군장·부대장 어디에도 끼지 못한 향군장이었다. 국군장은 1956년 김창룡 특무대장의 국군장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고 네 차례 합참장은 모두 합참의장 출신 차지였다.
미국은 군인이 죽으면 표준명예장례·최고명예장례·국군장례 세 가지 등급으로 장례를 치른다. 등급을 정할 때는 무엇보다 전공(戰功)이 중요하다. 우리 태극무공훈장에 해당하는 명예훈장(Medal of Honor)을 받은 장병의 장례식에는 대통령이 참석한다. 프랑스와 호주는 2000년대 들어 각기 1차대전 마지막 참전 용사가 숨지자 국장(國葬)으로 치렀다. 호주는 전국에 반기(半旗)를 걸었고 총리가 해외 방문 중 서둘러 귀국했다.
우리나라에서 전공에 따라 태극·을지·충무·화랑·인헌, 5등급의 무공훈장을 받은 분 중에 생존자는 2만7000여명이다. 4분의 3이 6·25 참전 용사이고 33%가 80세 이상이다. 무공 수훈자는 등급에 관계없이 월 18만원 영예수당을 받고 있다. 월 1100달러 특별수당에 갖가지 혜택을 받는 미국 명예훈장 수훈자와는 비교가 안 된다.
제대로 된 나라는 전쟁 영웅의 계급을 따지지 않는다. 파리 개선문 아래 '여기 조국을 위해 숨진 한 병사가 있다'는 묘비가 서 있다. 병사 한 사람 한 사람을 귀하게 모시는 정신이다. 이런 일에 소홀하면 대한민국은 '목숨 바쳐 싸울 나라'가 될 수 없다.
'기분 좋은 행복한 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에 감동을 주는자 (0) | 2012.05.31 |
---|---|
[사설] 위관급 전쟁 영웅에게 주어진 육군葬의 영예 (0) | 2012.05.03 |
대위 첫 육군葬 (0) | 2012.05.02 |
위관급 전쟁 영웅에게 주어진 육군葬의 영예 (0) | 2012.05.02 |
내가 아는 행복의 열쇠 (0) | 2012.04.22 |